개인공부/GIT 8

[GIT] branch 생성/삭제/히스토리 확인/원격확인

git branch ==> 현재 브랜치확인 (예: master) git branch branch111 ==> branch111 브랜치 생성 git branch branch222 ==> branch222 브랜치 생성 git checkout branch222 ==> master(branch111)에서 checkout 하고 branch222으로 이동 git branch -d branch222 ==> branch222 삭제 git branch -b branch333 => branch333 생성하고 branch3으로 이동 git log ==> 히스토리 확인 (브랜치별로 이동해서 확인) git log --branches ==> 모든 브랜치 히스토리 확인 git log --branches --graph ==> 모든 ..

개인공부/GIT 2022.06.14

[GIT] 버전 되돌리기

git add . git commit -m "1" git add . git commit -m "2" git log 확인하면 head가 최신버전인 2번을 가리킴 - 이전 버전으로 돌리기 git reset --hard HEAD~1 ( 완전히 현재 HEAD부터 하나 돌려라) git reset --hard HEAD~2 ( 2번 째 전으로 돌려라) - 원상 복귀 git reset --hard ORIG_HEAD (한번은 이전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) 다른 환경에서 push를 하고 새로운 버전으로 바뀐 상태에서 다른 환경에서 버전을 pull 하지 않고 수정하고 push를 한 경우에 충돌이 발생하는데 이럴 때 원상 복귀하고 pull 한 후 에 다시 수정하고 push를 해야한다.

개인공부/GIT 2022.06.14

[GIT] 깃허브 폴더에 화살표 표시(접근불가)

init을 폴더 하위폴더와 상위폴더에서 실행을하여 .init파일이 두군데에 생성된 경우 발생하는 오류인듯 하다. 블로그를 참조해서 아래의 명령대로 실행하니 정상작동한다. 하위폴더로 이동을 해서 $ rm -rf .git 명령어로 해당 .git 파일 제거하고 상위폴더로 이동 > cd .. > git rm --cached . -rf (스테이지에 있는 파일 제거) 명령어를 실행 후, 다시 add commit push를 하니, 정상적으로 작동한다. 참조한 블로그 https://jgjg.tistory.com/m/21 깃허브 화살표 폴더오류 우선 오류가 발생하게 된 상황의 서순 : 1. 원래 최상위 레포지토리 'MUTSA' 폴더 안에 깃허브 블로그를 html과 css로 작성하던 'Blog'라는 폴더가 따로 있고 과제..

개인공부/GIT 2021.07.16

[GIT] email 오류로 잔디 심기가 안됐을 경우

[출처 pawer0223님 블로그] https://taesan94.tistory.com/127 기록을 하기위해 남겨둔 내용이기 때문에 이미지는 없다. 보다 자세한 설명이 필요한경우 pawer0223님 블로그를 참고. github Contribution activity 나타나지 않을때 해결방법 [ 출처 : jojoldu님 블로그 ] 다른 컴퓨터에서 gitBash로 2주 정도 작업을 했는데.. 나중에 github를 확인해보니깐 Contribution activity에 기록이 되질 않았다..ㅠㅠ 잔디가 안 칠해졌다.. 원인은 gitConfig에.. taesan94.tistory.com 깃허브에 잔디가 심어지지 않는 경우의 대표적인 경우가 email 오류인듯 하다. 깃허브의 등록된 이메일과 git의 이메일이 다..

개인공부/GIT 2021.04.02

[GIT] push 후 commit 메세지 수정

.git이 저장되어 있는 폴더로 이동한다. git rebase HEAD~숫자 i -> 여기서 숫자는 커밋한 히스토리 갯수이다. 입력 후 열리는 화면에서 pick라고 되어있는 부분을 reward로 수정해준다. i 수정 :wq git push --force 를 입력하면 된다. 하지만 이 방법은 github 공식 문서에서 최대한 자제하라고 나와있는 방법이다. push하기전에 무조건 다시 확인하고 확인하자.

개인공부/GIT 2021.03.30

[GIT] git stash

stash는 작업중인 파일을 숨김처리하는 것을 말한다. 현재 작업중인 브랜치의 작업이 끝나지 않았고 작업이 끝나지도 않았는데 commit하기도 애매하고 다른 브랜치의 작업을 해야할 경우 사용한다. - vim index.txt 생성 - git add index.txt - git status로 확인하면 modified: index.txt가 표시되고 - git stash로 숨김처리하고 - git status를 하면 modified 표시가 사라진것을 확인할 수 있다. - git stash list를 확인하면 git stash된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고 여러번의 stash를 진행하면 가장 위에 표시된 stash가 최근 stash다. - git stash apply를 하면 최근작업한 stash가 적용되고 - git..

개인공부/GIT 2021.02.17

[GIT] ! [rejected] master -> master (non-fast-forward) 문제해결

github에서 저장소 생성 저장소 주소를 remote에 입력 (git remote add origin https://github…..) 로컬에서도 정상적으로 초기화(git init) git pull 또는 git merge 명령이 동작하지 않음 git push origin master시 [rejected] master -> master (non-fast-forward) 에러가 발생 깃허브에 생성된 원격 저장소와 로컬에 생성된 저장소 간 공통분모가 없는 상태에서 병합하려는 시도로 인해 발생. 관련 없는 두 저장소를 병합하는 것은 안되도록 설정되어 있음. 아래와 같이 git pull 시에 –allow-unrelated-histories 옵션 추가하여 관련 없었던 두 저장소를 병합하도록 허용 git pull ..

개인공부/GIT 2021.02.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