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인공부/GIT

[GIT] git stash

octopengj 2021. 2. 17. 18:24

stash는 작업중인 파일을 숨김처리하는 것을 말한다. 

현재 작업중인 브랜치의 작업이 끝나지 않았고

작업이 끝나지도 않았는데 commit하기도 애매하고

다른 브랜치의 작업을 해야할 경우 사용한다.

 

 

- vim index.txt 생성

- git add index.txt

- git status로 확인하면 modified: index.txt가 표시되고

- git stash로 숨김처리하고

- git status를 하면 modified 표시가 사라진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- git stash list를 확인하면 git stash된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고

  여러번의 stash를 진행하면 가장 위에 표시된 stash가 최근 stash다.

- git stash apply를 하면 최근작업한 stash가 적용되고

- git status에 다시 표시가 된다.

- git stash list를 확인하면 list에서는 그대로 존재하게 되는데 이를 삭제하려면

- git stash drop을 해주면 된다.

- git stash apply; git stash drop;을 입력하면 한번에 처리 된다. 이를 한번에 처리하는 명령어는

- git stash pop 이다.

 


 

git stash는 버전관리(tracked)가 되고있는 파일만 stash가 된다.

 

- vim a.txt 파일 생성과

- vim b.txt 파일 생성 후 

- git status 확인하면 a.txt는 tracked되어 있고 b.txt는 untracked되어 있다.

- git stash 처리를 하면 

- a.txt파일만 stash처리가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