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it bash 실행 기본 사용법
-사용자 등록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사용자 이름"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이메일"
- 초기 설정(개행문자 설정)
git config --global core.autocrlf true (윈도우)
git config --global core.autocrlf input (mac)
- 구성확인
git config --global --list
(-- 두개가 붙는 것을 플래그라 한다.)
- 현재위치 확인
pwd
- 폴더 이동
cd ..
cd .
cd ~
- 디렉토리 생성, 삭제
생성: mkdir 디렉토리명
삭제: rmdir 디렉토리명
- 로컬저장소를 만드는 명령어
git init
- vim
vim->편집기를 실행시키는 명령어
파일에 내용 추가->i키(insert)->커서가 이동->글자를 입력
print("hello world");
esc키를 누르고 shift :
:wq enter->파일저장->종료하라.
write quit
- ls
경로에 존재하는 파일확인
- cat
파일의 내용을 확인->cat 경로포함해서 파일명
cat hello.txt ->파일의 내용만을 확인할때 사용
- git status
커밋하기 전 저장소 상태를 확인
- add
git add 명령어------------------>작업한 내용을 병합(합칠때)
작업파일로 설정(추적파일로 설정)
* 에러메세지->파일을 저장할때 리눅스방식으로 저장하지 않았기때문에 발생하는 에러메세지
CR =>현재의 위치에서 다음줄로 개행을 할때 커서가 맨앞에 위치
LF=>현재의 위치는 변화지 않은상태에서 커서만 위로 이동
==> $ git config --global core.autocrlf true
- commit
현재까지 작업한 내용을 push 전 상태로 올림
git commit
git commit -a => add와 commit를 한번에 처리
-> vim 에서 메세지 작성
git commit -m "커밋 메세지" => vim에 들어갈 필요없이 바로 메세지 입력